layered architecture
Architecture Diagram
손님 들어옴 -> 웨이터 만남(컨트롤러) -> 주문 (요청 받아 요청 분석) -> 셰프에게 전달(로직을 갖고있는 객체, business logic Object=service) => Persistence layer가 db에서 raw data 가져옴(=dao) => service가 가공 => controller(웨이터)가 받음 -> VO로 통에 담음 (=DTO, java bean )-> controller한테 돌려줌 -> 컨트롤러가 받아서 view로 보냄 -> view에서 예쁘게 꾸밈 (UI 구성) -> 손님한테 감
=> 전달 구조 (각 layer로 나눠져있음)
raw data 가져올떄 그걸 담을 통:VO
dao는 순수하게 데이터만 가져옴
vo는 데이터만 가짐
controller는 응집력이 좀 높음
view는 ui만 신경쓴다
=> 응집력 높이기 위해 layered architecture 씀
HCLC!!
EJB 요즘은 안 쓰고 Java Bean만 씀
<메이븐 설치>
Java EE 어쩌구 들어가서 Generate 어쩌구`~~ 하고 pom.xml과 WEB-INF 안에 Web.xml 다 신경써줘야함
'WEB Applica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/09/15 웹 프로그래밍 기초 (Reflection, 이클립스 정규표현식 대체, annotation) (1) | 2020.09.15 |
---|---|
20/09/14 웹 프로그래밍 (db properties 연결, DBCP) (1) | 2020.09.14 |
20/09/09 웹 프로그래밍 기초 (0) | 2020.09.09 |
20/09/08 웹 프로그래밍 기초 (Model 2, 트리 노드) (0) | 2020.09.08 |
20/09/07 웹 프로그래밍 기초 (Scope ) (0) | 2020.09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