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AVA 데이터 타입에는 문자형, 정수형, 실수형 등이 있음
기본형 변수는 실제 값(data)를 저장.
참조형 변수는 값이 저장된 주소(memory address)를 값으로 가짐.
=> 자바에서는 참조형 변수끼리 연산 불가능.
1byte | 2byte | 4byte | 8byte | |
논리형 | boolean | |||
문자형 | char | |||
정수형 | byte | short | int | long |
실수형 | float | double |
쉽게 기억하는 팁!
boolean: True or False니까 1byte
char: 자바에서 유니코드 (2byte문자체계) 사용하므로 2byte
short: int를 기준으로 짧으니까 2byte
long: int를 기준으로 기니까 8byte
double: float의 2배니까 8byte.
정수형의 경우 n을 bit로 했을 때 -2의 n-1제곱~ 2의 n-1제곱 -1.
int타입의 변수는 대략 10자리 수(약 20억)의 값을 저장 가능
정밀도 (precision)
실수형 타입의 경우 정수형보다 훨 큰 값을 표현 가능하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음.
e.g. float의 정밀도는 7자리다(=10진수로 7자리의 수를 오차없이 저장할 수 있다)
비트 Bit(binary digit): 한 자리의 2진수/ 컴퓨터가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최소단위
니블nibble: 4bit
바이트byte : 8bit / 데이터의 기본 단위
워드word: 4byte, CPU가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
>>n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10진수
값의 개수: 2의 n제곱
값의 범위: 0 ~ 2의 n제곱 -1
'JAVA > 개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 stream 스트림 (1) | 2020.08.26 |
---|---|
자바(JAVA) 지금까지 공부한 것 중 기억해둘 것 정리 (0) | 2020.07.10 |
자바로 프로그래밍할 때의 암묵적인 규칙들 (0) | 2020.07.09 |
자바 개발환경 구축하기, 자바 프로그램 작성하기 (0) | 2020.07.08 |
자바 JVM (자바 버추얼 머신)이란? (0) | 2020.07.08 |